한자와 성경-천자문과 성경(9)-인간 사회와 인륜의 질서-제3편 여모정렬 남효재량
✨ 2. 인간 사회와 인륜의 질서
하나님의 나라, 인간 사회 속에 드러나다!
가정과 사회의 질서는 하나님께서 만드신 창조 질서의 연장입니다.
앞선 편에서 우리는 ‘효당갈력 충측진명(孝當竭力 忠則盡命)’을 통해 효와 충의 완성, 곧 사랑과 헌신의 질서를 배웠습니다.
이번 편 ‘여모정렬 남효재량(女慕貞烈 男效才良)’은 그 질서가 남자와 여자, 곧 가정의 두 기둥 안에서 어떻게 아름답게 드러나는지를 보여줍니다.
🤟 제3편, 여모정렬 남효재량(女慕貞烈 男效才良)
🕯️ 이 구절은 일부 '천자문' 판본에서는 '女慕貞潔(여모정결)'로 표기되기도 하는데, 이는 뒤에 나오는 '紈扇圓潔(환선원결)의 '潔(결)'과 글자가 중복되므로 여기서는 '女慕貞烈(여모정렬)을 채택하여 설명합니다.
☞ ① 전통적 해석
● 女(여자 여) : '앉아 있는 여자'의 모습을 본뜬 상형문자로, '여자', '여인' 등을 의미합니다. 인간 사회의 절반을 이루는 존재로서 그 역할과 품격을 상징합니다.
● 慕(그리워할 모) : '해 질 녘에 사람이 없는 풀밭(莫)에서 덮을 것(巾)을 찾아 헤매는 모습'을 본떠 '생각하고 그리워한다'는 뜻을 지닙니다. 여기서는 '흠모하다', '따르고자 하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 貞(곧을 정) : '점칠 정(卜)'과 '재물을 의미하는 조개 패(貝)'의 결합으로, '점을 쳐서 재물의 길흉을 판별하는 모습'에서 '정확하다', '곧다', '정조'를 의미합니다. 여기서는 '정숙함', '변치 않는 절개'를 뜻합니다.
● 烈(매울 렬) : '불꽃 렬(烈)'과 같은 글자로, '횃불 아래에서 사람이 벌을 받는 모습'에서 유래하여 '매섭다', '굳세다'는 의미를 가집니다. 여기서는 '굳은 절개', '강인한 지조'를 나타냅니다.
⭐ 여모정렬(女慕貞烈)
여성은 정숙하고 절개 있는 것을 흠모해야 한다. 이는 여성이 외적인 아름다움보다는 내면의 정결함과 굳은 의지를 귀하게 여겨야 함을 강조하는 말입니다.
⚯ ⚯ ⚯ ⚯ ⚯ ⚯ ⚯ ⚯
● 男(남자 남) : '밭 전(田)'과 '힘 력(力)'이 결합된 글자로, '밭에서 힘쓰는 사내'를 의미합니다. 남성의 사회적 역할과 책임감을 상징합니다.
● 效(본받을 효) : '가르칠 교(交)'와 '칠 복(攵)'의 결합으로, '채찍으로 쳐서 가르치는 모습'에서 '본받다', '배우다', '힘쓰다'는 의미를 지닙니다. 여기서는 '본받아 노력하다'는 뜻입니다.
● 才(재주 재) : '초목의 싹'을 본뜬 글자로, '싹이 돋아나는 힘'에서 '재능', '재주', '능력'을 의미합니다.
● 良(좋을 량) : '지붕 아래 그릇을 정리하는 모습'에서 '좋다', '어질다', '선량하다'는 뜻을 가집니다.
⭐ 남효재량(男效才良)
남성은 재주 있고 어진 것을 본받아 힘써야 한다. 이는 남성이 단순히 힘을 쓰는 것을 넘어 지혜와 덕을 겸비한 인품을 추구해야 함을 강조하는 가르침입니다.
🌳 🌲 🍂 🍁
🌍 女慕貞烈 男效才良
“여성은 정숙함과 굳은 절개를 흠모하고, 남성은 재주와 어진 덕을 본받아 노력해야 한다.” 이는 각자가 지닌 역할에 따라 사회의 조화와 성품의 완성을 이루어가는 전통적인 가르침을 담고 있습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② 성경적 해석과 연결
📜 잠언 31장 10-12절
“누가 현숙한 여인을 찾아 얻겠느냐 그의 값은 진주보다 더하니라 그런 자의 남편의 마음은 그를 믿나니 산업이 핍절하지 아니하겠고 그런 자는 살아 있는 동안에 그의 남편에게 선을 행하고 악을 행하지 아니하느니라”
👉 ‘여모정렬(女慕貞烈)’은 단순히 외적인 모습이 아닌, 내면의 정결함과 현숙함, 그리고 하나님을 경외하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현숙한 여인의 지혜와 근면함은 가정과 공동체에 선한 영향력을 끼칩니다. 이는 약속이 있는 첫 계명인 부모 공경과 마찬가지로, 내면의 아름다움과 믿음을 통해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는 삶입니다.
🌺 🌼
📜 골로새서 3장 23-24절
“무슨 일을 하든지 마음을 다하여 주께 하듯 하고 사람에게 하듯 하지 말라 이는 기업의 상을 주께 받을 줄 앎이니 너희는 주 그리스도를 섬기느니라”
👉 ‘남효재량(男效才良)’은 하나님께서 주신 재능과 은사를 공동체를 위해 선하게 사용하라는 부르심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지혜와 덕을 겸비하여 섬김의 리더십을 발휘하며, 세상에 빛과 소금이 되는 삶을 추구하는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친히 모범을 보이신 것처럼, 자신의 역량을 오직 주님께 영광 돌리는 일에 전적으로 사용하는 태도입니다.
🌺 🌼
📜 갈라디아서 3장 28절
“너희는 유대인이나 헬라인이나 종이나 자유인이나 남자나 여자나 다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하나이니라”
👉 성경은 남녀 모두 하나님 안에서 동등한 존엄성을 가지며, 각자의 역할과 재능을 통해 하나님의 나라를 이루어감을 강조합니다. ‘정렬’과 ‘재량’은 단순히 전통적 성별 역할에 갇히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인의 성품으로서 남자와 여자 모두에게 필요한 덕목으로 확장됩니다.
☞ ③ 성경과 천자문의 차이점
구분 | 천자문 | 성경 |
기준 | 전통적인 성별 역할에 따른 품격과 역량 | 하나님 안에서 부여받은 각자의 소명과 덕목 |
동기 | 인간 사회의 조화와 질서 유지 | 하나님의 영광을 위한 삶과 사랑의 실천 |
행동의 기준 | 유교적 예절과 전통적 가치 | 하나님의 말씀과 예수 그리스도의 본을 따름 |
결과 | 안정되고 윤리적인 공동체 | 하나님 나라의 확장과 영원한 생명 |
👉 천자문은 당시 사회의 질서와 역할을 중요시했지만, 성경은 남녀의 평등한 존엄성 위에 각자의 성품과 재능을 하나님의 뜻에 따라 사용하여 공동체를 섬길 것을 가르칩니다.
☞ ④ 신앙적 메시지
● 여모정렬(女慕貞烈) : 하나님 앞에서 온전한 인격과 순전한 마음을 지키며, 주님의 성품을 닮아가는 여성의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삶.
● 남효재량(男效才良) : 하나님께서 주신 지혜와 능력을 겸비하여 세상을 섬기고, 그리스도의 향기를 전하는 남성의 리더십을 발휘하는 삶.
📜 베드로전서 4장 10절
“각각 은사를 받은 대로 하나님의 여러 가지 은혜를 맡은 선한 청지기 같이 서로 봉사하라”
👉 우리 모두는 하나님께서 주신 각자의 모습 그대로, 그리고 각자의 은사대로 살아가며 주님의 선한 청지기가 되어야 합니다.
정렬과 재량은 우리에게 주어진 역할 속에서 하나님의 마음을 헤아려 실천하는 그리스도인의 덕목입니다.
👉 나가기
‘여모정렬 남효재량(女慕貞烈 男效才良)'은 단순히 남녀의 전통적 역할을 넘어, 모든 이가 하나님의 뜻 안에서 정결한 성품과 선한 영향력을 지닌 자로 살아가야 함을 가르칩니다.
🌞 내면의 순결과 굳건한 믿음을 가지고, 받은 재능과 지혜로 세상을 섬기는 것이야말로 진정으로 하나님 나라의 질서를 세상에 드러내는 아름다운 삶의 모습일 것입니다.
다음 글에서는 '외수부훈 입봉모의(外受傅訓 入奉母儀)를 통하여 스승의 가르침과 어머니의 본이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2025. 10. 13. 부요함)
'한자와 성경 > 천자문과 성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자와 성경-천자문과 성경(8)-인간 사회와 인륜의 질서-제2편 효당갈력 충측진명 (0) | 2025.10.12 |
---|---|
한자와 성경-천자문과 성경(7)-인간 사회와 인륜의 질서-제1편 자부사군 왈엄여경 (1) | 2025.10.11 |
한자와 성경-천자문과 성경(6)-천지창조와 우주의 질서-제6편 해함하담 인잠우상 (1) | 2025.10.10 |
한자와 성경-천자문과 성경(5)-천지창조와 우주의 질서-제5편 운등치우 로결위상 (0) | 2025.10.08 |
한자와 성경-천자문과 성경(4)-천지창조와 우주의 질서-제4편 윤여성세 율려조양 (0) | 2025.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