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자와 성경/천자문과 성경

한자와 성경-천자문과 성경(10)-2.인간 사회와 인륜의 질서-제4편 외수부훈 입봉모의

by buyoham 2025. 10. 14.
반응형

한자와 성경-천자문과 성경(10)-2.인간 사회와 인륜의 질서-제4편 외수부훈 입봉모의

✨ 2. 인간 사회와 인륜의 질서

하나님의 나라, 인간 사회 속에 드러나다!

우리는 끊임없이 배우고 성장하며, 그 배움은 삶의 터전 속에서 아름답게 열매 맺어야 합니다.

지난 편 ‘여모정렬 남효재량(女慕貞烈 男效才良)이 남녀 각자의 역할 속에서 마땅히 갖춰야 할 성품과 역량을 이야기했다면, 이번 편 ‘외수부훈 입봉모의(外受傅訓 入奉母儀)는 성숙한 인격 형성의 근간이 되는 외부의 가르침과 가정 내의 가르침에 대해 다룹니다.

🖖 제4편, 외수부훈 입봉모의(外受傅訓 入奉母儀)

☞ ① 전통적 해석

● 外(밖 외) : '저녁 석(夕)'과 '점 복(卜)'이 결합된 형태로, '점을 쳐서 미래를 예측하는 사람'의 모습에서 '밖', '바깥'을 의미하게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집 밖', '가정 밖의 사회'를 뜻합니다.

 

● 受(받을 수) : '손톱 조(爪)'와 '또 우(又)'가 결합된 글자로, '위에서 아래로 전해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받다', '수용하다'는 뜻을 가집니다.

 

● 傅(스승 부 / 가르칠 부) : '사람 인(人)'과 '두루 부(尃)'가 결합되어, '널리 가르치는 사람'의 의미를 가집니다. '스승', '보좌하는 관리' 등을 나타내며, 특히 '가르침을 주는 사람'을 지칭합니다.

 

● 訓(가르칠 훈) : '말씀 언(言)'과 '내 천(川)'이 결합되어 '물이 흐르듯 막힘없이 말이 흘러나와 가르침을 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가르치다', '훈계하다'는 뜻을 가집니다.

 

⭐ 외수부훈(外受傅訓) 

밖에서는 스승의 가르침을 받는다. 이는 학교나 사회에서 공적인 교육기관이나 어른, 스승으로부터 지식과 지혜를 배우고 인격을 형성해야 함을 강조하는 말입니다.

⚯ ⚯ ⚯ ⚯ ⚯ ⚯ ⚯ ⚯

 

● 入(들 입) : '무언가 안으로 들어가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들어가다', '집 안'을 의미합니다. 여기서는 '집에 들어오다'는 뜻입니다.

 

● 奉(받들 봉) : '두 손으로 무엇인가를 받쳐 드는 모양'에서 유래하여, '받들다', '존경하다', '모시다'는 뜻을 가집니다. 공손하고 경건한 태도를 나타냅니다.

 

● 母(어미 모) : '여성'을 나타내는 글자에 '두 점'이 더해져 '모유를 먹이는 모습'을 상형한 글자입니다. '어머니'를 뜻합니다.

 

● 儀(거동 의 / 법 의) : '사람 인(人)'과 '의로울 의(義)'가 결합되어 '사람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예법'을 의미합니다. '본보기', '예의', '모범', '품행'을 뜻합니다.

 

⭐ 입봉모의(入奉母儀) 

집에 들어와서는 어머니의 법도를 받든다. 이는 집 안에서는 어머니의 바른 행실과 가르침을 존중하고 따르며, 올바른 인성과 예의를 갖춰야 함을 뜻합니다.

🌳 🌲 🍂 🍁

🌍 外受傅訓 入奉母儀 

“밖에서는 스승의 가르침을 받고, 집에 들어와서는 어머니의 법도를 받든다.” 이는 개인이 외부의 공적인 교육과 가정 내의 인성 교육이라는 두 가지 축을 통해 균형 잡힌 인격체로 성장해야 함을 강조하는 가르침입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② 성경적 해석과 연결

📜 잠언 9장 9절 

지혜 있는 자에게 교훈을 더하라 그가 더욱 지혜로워질 것이요 의로운 사람을 가르치라 그의 학식이 더하리라

📜 잠언 19장 20절 

“ 너는 권고를 들으며 훈계를 받으라 그리하면 네가 필경은 지혜롭게 되리라 ”

 

👉 ‘외수부훈(外受傅訓)은 세상 속에서 주시는 지혜와 말씀을 가르치는 스승과 영적 지도자의 가르침을 겸손히 받아들이는 태도입니다. 

🌺 🌼

📜 잠언 1장 8-9절 

“내 아들아 네 아비의 훈계를 들으며 네 어미의 법을 떠나지 말라 이는 네 머리에 아름다운 관이요 네 목에 금 사슬이니라”

 

👉 ‘입봉모의(入奉母儀)는 가정 안에서 부모님, 특히 어머니가 믿음의 본을 보이며 양육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하나님께서 주신 권위 아래에서 배움과 훈육은 우리의 삶을 아름답게 합니다.

🌺 🌼

📜 에베소서 6장 4절 

“또 아비들아 너희 자녀를 노엽게 하지 말고 오직 주의 교훈과 훈계로 양육하라”

 

👉 이 말씀은 가정 내에서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의 역할을 강조하면서도, 그 가르침의 근본이 '주의 교훈과 훈계'에 있음을 분명히 합니다. 부모는 단순히 사회적 통념이 아닌, 하나님의 말씀에 따라 자녀를 교육하는 중요한 책임이 있습니다. 어머니의 법도를 받드는 것은 곧 하나님을 경외하는 가정의 질서를 세우는 일입니다.

🌺 🌼

📜 디모데후서 3장 14-15절 

“그러나 너는 배우고 확신한 일에 거하라 너는 네가 누구에게서 배운 것을 알며 또 어려서부터 성경을 알았나니 성경은 능히 너로 하여금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에 이르는 지혜가 있게 하느니라”

 

👉 디모데가 외할머니 로이스와 어머니 유니게로부터 배운 믿음의 유산은 '입봉모의'의 아름다운 성경적 예시입니다. 가정에서부터 성경을 통해 진리의 가르침을 받고, 그 위에 외부 스승(사도 바울)을 통해 깊은 교훈을 받은 디모데의 성장은 바로 '외수부훈 입봉모의'가 신앙 안에서 어떻게 완성되는지를 보여줍니다.

 

☞ ③ 성경과 천자문의 차이점

 

구분 천자문 성경
교육의 주체 스승과 어머니 (가정 및 사회) 하나님 (말씀), 부모, 영적 스승
교육의 목표 균형 잡힌 인격과 사회 질서 구원에 이르는 지혜, 하나님의 뜻 순종
교육의 내용 학문, 예절, 윤리, 도덕 하나님의 말씀, 믿음, 사랑, 지혜
교육의 동기 인간 사회의 조화와 도리 하나님에 대한 경외심과 사랑

 

👉 천자문은 인간 사회를 살아가는 데 필요한 지혜와 덕목을 강조하지만, 성경은 그 모든 배움의 궁극적인 주체와 목적이 하나님께 있음을 가르칩니다. 외부의 스승과 가정의 부모를 통해 받는 가르침 역시, 궁극적으로는 하나님의 말씀에 근거할 때 참된 가치를 지닙니다.

 

☞ ④ 신앙적 메시지

● 외수부훈(外受傅訓) : 우리는 삶의 모든 영역에서 하나님의 지혜와 가르침을 구하며, 하나님께서 보내주신 지혜로운 스승과 영적 멘토들의 가르침에 겸손히 귀 기울여야 합니다. 이 세상의 지식뿐 아니라 영적인 지식을 끊임없이 배우는 것이 주님의 청지기로서의 삶입니다.

● 입봉모의(入奉母儀) : 가정은 가장 중요한 신앙 교육의 장입니다. 어머니의 믿음과 삶의 본은 자녀들에게 가장 큰 가르침이 되며, 하나님의 말씀으로 세워진 가정을 통해 다음 세대가 주님의 교훈 안에서 성장할 수 있습니다.

 

📜 잠언 22장 6절 

“마땅히 행할 길을 아이에게 가르치라 그리하면 늙어도 그것을 떠나지 아니하리라”

 

👉 삶의 모든 배움의 과정에서 주님의 말씀과 가르침을 중심에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 나가기

‘외수부훈 입봉모의(外受傅訓 入奉母儀)'는 단순한 교육관을 넘어, 하나님 안에서 온전한 인격과 믿음을 갖춘 자로 성장하기 위한 중요한 원리를 제시합니다.

 

🌞 외부에서 지식을 배우고 가정에서 믿음과 인성을 다지는 것은, 우리를 이 세상에서 빛과 소금의 역할을 감당하도록 준비시키며, 하나님의 나라를 이 땅에 구현하는 귀한 발걸음이 될 것입니다.

 

다음 글에서는 '제고백숙 유자비아(諸姑伯叔 猶子比兒)'를 통하여 가족, 친지간의 우애와 정을 천자문과 성경에서 어떻게 생각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2025. 10. 14. 부요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