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와 성경-천자문과 성경(7)-인간 사회와 인륜의 질서-제1편 자부사군 왈엄여경
✨ 2. 인간 사회와 인륜의 질서
하나님의 나라, 인간 사회 속에 드러나다!
하늘과 땅이 말씀으로 세워졌듯, 인간 사회도 질서로 세워졌습니다.
하나님은 천지만물을 창조하신 후, 그 질서를 사람의 관계 속에도 심으셨습니다.
그분의 창조는 단지 빛과 어둠, 물과 땅의 분리로 끝나지 않았습니다.
하나님은 사람과 사람 사이에 경계와 조화의 법도를 두심으로써 인간 사회가 무질서가 아닌 평화와 사랑 안에서 존재하도록 하셨습니다.
창세기의 첫 장이 자연의 질서를 보여준다면,
그다음 장은 가정과 인간관계의 질서를 보여줍니다.
하나님은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시고(창 1:27), 그들에게 생육하고 번성하라(창 1:28) 명령하심으로 사랑과 권위가 조화를 이루는 사회적 질서의 기초를 놓으셨습니다.
☝️ 제1편, 자부사군 왈엄여경(資父事君 曰嚴與敬)
☞ ① 전통적 해석
● 資(더할 자) : '재물 자' 또는 '더할 자'로 읽히며, 재물, 자본, 밑천, 비용 등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돕고 공급한다는 뜻으로도 쓰입니다.
● 父(아비 부) : '아비 부', '웃어른 보' 로 읽히며 하나의 세로획과又(또 우)로 이루어진 글자입니다. '손에 막대기를 든 모습', '도끼를 들고 일을 하는 남자'라는 의미로 풀이되기도 합니다.
● 事(일 사) : 일, 사건, 직업, 직책 등을 뜻합니다. 또한 '어떤 일을 맡다'라는 의미로도 쓰이며, '공무원'이나 '이사', '판사', '검사'와 같이 특정 직무를 수행하는 사람을 지칭할 때도 사용됩니다. '모시다', '섬기다'의 뜻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 君(임금 군) : '임금'을 뜻하는 한자이며, '임금처럼 다스리는 사람', '군주'를 의미합니다. 또한, 현대에는 성이나 이름 뒤에 붙여 '손아랫사람'이나 '미성년자'를 높여 부르는 존칭으로 사용되며, 남성에게 주로 쓰입니다.
⭐ 자부사군(資父事君)
“아버지를 도우며 임금을 섬긴다.” "부모님께 효도하는 마음으로 임금을 섬겨야 한다." - 효(孝)와 충(忠)의 근본.
⚯ ⚯ ⚯ ⚯ ⚯ ⚯ ⚯ ⚯
● 曰(가로 왈) : '말하다', '가로되'라는 뜻을 가진 한자이며, 주로 고전 텍스트나 경전에서 '~라고 말했다'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예 : 공자왈, 맹자왈)
● 嚴(엄할 엄) : ‘두려워하다’, ‘경건히 하다’, '엄하다', '엄격하다', 엄숙하다' 등의 뜻을 가지고 있으며, 높은 산처럼 위엄 있고, 함부로 대할 수 없는 분위기나 상태를 나타냅니다.
● 與(더불 여) : '더불 여', '줄 여'로 읽습니다. 이 한자는 '더불다', '함께하다', '주다' 등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 敬(공경할 경) : 공경하고, 삼가며, 엄숙한 마음으로 대하는 태도를 의미하며, 윗사람을 대하거나 덕이 있는 대상에 대해 진심으로 예의를 갖추는 마음이나 행동을 나타낼 때 쓰입니다.
⭐ 왈엄여경(曰嚴與敬)
“섬김에는 엄숙함과 공경함이 있어야 한다.”는 뜻으로 부모와 윗사람을 섬김에 있어 마음의 자세와 태도의 깊이를 강조합니다.
🌳 🌲 🍂 🍁
🌍 자부사군 왈엄여경(資父事君 曰嚴與敬)
⚭ ⚭ ⚭ ⚭ ⚭ ⚭ ⚭ ⚭ ⚭ ⚭ ⚭
⚭ ⚭ ⚭ ⚭ ⚭ ⚭ ⚭ ⚭ ⚭ ⚭ ⚭
☞ ② 성경적 해석과 연결
📜 출애굽기 20장 12절
“네 부모를 공경하라. 그리하면 네 하나님 여호와가 네게 준 땅에서 네 날이 길리라.”
👉 부모 공경은 단순한 도덕이 아닌, 하나님께 대한 순종의 표현이자 복의 통로입니다.
📜 로마서 13장 1–2절
“각 사람은 위에 있는 권세들에게 복종하라. 권세는 하나님께로 나지 않음이 없나니...”
👉 임금을 섬김은 곧 하나님께 순종하는 일입니다.
👉 ‘事君’은 세상 권력에 복종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주권적 질서를 인정하는 신앙의 훈련입니다.
📜 골로새서 3장 23–24절
“무슨 일을 하든지 사람에게 하듯 하지 말고 주께 하듯 하라.”
👉 ‘曰嚴與敬’의 참된 의미는 하나님을 향한 내면의 경외입니다. 공경은 태도이고, 엄숙함은 마음의 중심입니다.
☞ ③ 성경과 천자문의 차이점
구분 | 천자문 | 성경 |
기준 | 부모와 임금의 예절 | 하나님께서 세우신 권위의 질서 |
목적 | 인간 사회의 조화 | 하나님의 뜻에 대한 순종 |
태도 | 외적 예절과 복종 | 내적 경외와 신앙적 섬김 |
결과 | 안정된 사회 | 하나님 나라의 질서와 평안 |
👉 천자문은 ‘예(禮)’를 강조하지만, 성경은 ‘경외(敬畏)’를 그 근원으로 삼습니다.
효와 충은 단순한 윤리가 아니라 신앙의 기초입니다.
☞ ④ 신앙적 메시지
● ‘資父事君’ : 관계의 질서를 세움
→ 부모와 권위에 대한 존중은 하나님의 질서를 세우는 일.
● ‘曰嚴與敬’ : 태도의 질서를 세움
→ 섬김에는 진심이, 공경에는 경외가 있어야 함.
📜 고린도전서 7장 17절
“주께서 각 사람에게 나눠 주신 대로, 하나님이 각 사람을 부르신 그대로 행하라.”
각자의 자리에서 주신 부르심에 충실할 때, 가정과 사회는 하나님의 질서 안에 조화를 이룹니다.
👉 나가기
‘資父事君 曰嚴與敬’은 단순한 유교의 예절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세우신 관계의 질서와 경외의 마음을 가르칩니다.
🌞 “부모에게는 사랑으로, 권세에는 순종으로, 하나님께는 경외로 나아가라. 그리하면 네 삶이 질서 가운데 복되리라.”
다음 편에서는 ‘효당갈력 충측진명(孝當竭力 忠則盡命)’을 중심으로, 효와 충의 극치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2025. 10. 11. 부요함)
'한자와 성경 > 천자문과 성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자와 성경-천자문과 성경(6)-천지창조와 우주의 질서-제6편 해함하담 인잠우상 (1) | 2025.10.10 |
---|---|
한자와 성경-천자문과 성경(5)-천지창조와 우주의 질서-제5편 운등치우 로결위상 (0) | 2025.10.08 |
한자와 성경-천자문과 성경(4)-천지창조와 우주의 질서-제4편 윤여성세 율려조양 (0) | 2025.10.07 |
한자와 성경-천자문과 성경(3)-천지창조와 우주의 질서-제3편 한래서왕 추수동장 (0) | 2025.10.06 |
한자와 성경-천자문과 성경(2)-천지창조와 우주의 질서-제2편 일월영측 진숙열장 (0) | 2025.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