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자와 성경/천자문과 성경

한자와 성경-천자문과 성경(11)-2.인간 사회와 인륜의 질서-제5편 제고백숙 유자비아

by buyoham 2025. 10. 15.
반응형

한자와 성경-천자문과 성경(11)-2.인간 사회와 인륜의 질서-제5편 제고백숙 유자비아

 

✨ 2. 인간 사회와 인륜의 질서

하나님의 나라, 인간 사회 속에 드러나다!

가정은 가장 작은 공동체이며, 그 안에서 사랑과 돌봄이 확장될 때 비로소 사회 전체가 튼튼해집니다. 지난 편 ‘외수부훈 입봉모의(外受傅訓 入奉母儀)가 외부의 가르침과 가정의 훈육을 통해 온전한 인격으로 성장하는 중요성을 다루었다면, 이번 편 ‘제고백숙 유자비아(諸姑伯叔 猶子比兒)혈연으로 이어진 공동체 안에서의 사랑과 책임감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 제5편, 제고백숙 유자비아(諸姑伯叔 猶子比兒)

☞ ① 전통적 해석

 諸(모두 제 / 여러 제) : '모든', '여럿'을 뜻하는 글자입니다. 여기서는 여러 고모, 백부, 숙부를 모두 아우르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姑(고모 고) : '여자 여(女)'와 '옛 고(古)'가 결합된 형성문자로, 아버지의 여자 형제, 즉 '고모'를 뜻합니다.

 

 伯(맏 백 / 백부 백) : '맏이' 또는 '으뜸'을 의미하며, 주로 아버지의 맏형인 '백부(큰아버지)'를 지칭합니다.

 

 叔(아재비 숙 / 숙부 숙) : '젊은 사람' 또는 '아재비'를 의미하며, 주로 아버지의 동생인 '숙부(작은아버지)'를 지칭합니다.

 

⭐ 제고백숙(諸姑伯叔) 

모든 고모, 백부, 숙부. 즉, 부모의 형제자매들을 통칭하는 말입니다. 가족 공동체의 확대된 구성원들을 의미합니다.

 

⚯ ⚯ ⚯ ⚯ ⚯ ⚯ ⚯ ⚯

 

● 猶(오히려 유 / ~와 같을 유) : '마치 ~와 같이', '흡사하다'는 뜻을 지니며, 여기서는 '자기 자식처럼'이란 의미를 강화합니다.

 

● 子(아들 자) : '자녀' 또는 '아들'을 의미합니다. 여기서는 '조카'를 포함하여 자녀와 같은 대상으로 여긴다는 뜻으로 쓰입니다.

 

 比(견줄 비 / 가지런할 비) : '견주다', '~와 같이'라는 뜻으로, '어떤 대상을 다른 대상과 동일하게 취급한다'는 의미입니다.

 

 兒(아이 아) : '갓난아이', '어린아이'를 의미하며, 친자식을 지칭하는 표현으로 사용됩니다.

 

⭐ 유자비아(猶子比兒) 

(조카들을) 마치 자기 자식과 같이 아끼고 사랑한다. 혈연으로 이어진 조카들을 친자녀처럼 사랑으로 보살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 🌲 🍂 🍁

🌍 諸姑伯叔 猶子比兒

“모든 고모, 백부, 숙부는 조카들을 마치 자기 친자식과 같이 아끼고 사랑해야 한다.” 이는 확대된 가족 공동체 안에서 사랑과 보살핌의 정신이 어떻게 구현되어야 하는지를 가르치는 말입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② 성경적 해석과 연결

📜 신명기 10장 18절 

“고아와 과부를 위하여 정의를 행하시며 나그네를 사랑하여 그에게 의복과 양식을 주시나니”

 

👉 ‘제고백숙 유자비아’는 확대 가족 내의 구성원들에 대한 사랑을 강조합니다. 성경은 더 나아가 혈연관계를 넘어 약하고 소외된 이웃에 대한 사랑과 돌봄의 명령을 끊임없이 강조합니다. 가족 구성원으로서 마땅히 돌보아야 할 조카를 친자식처럼 여기는 마음은, 하나님의 뜻 안에서 공동체의 약한 자를 돌보는 사랑의 실천과 연결됩니다. 

🌺 🌼

📜 잠언 17장 6절 

“손자는 노인의 면류관이요 아비는 자식의 영광이니라”

 

👉 이 구절은 손자에 대한 사랑과 자손 대대로 이어지는 가문의 중요성을 은유적으로 보여줍니다. 비록 직접적인 부모-자식 관계는 아니지만, 조카 또한 귀한 다음 세대의 일원으로서 노인들에게는 기쁨이요, 아비들에게는 영광의 확장이 될 수 있습니다. 이는 확장된 가족 관계 속에서 사랑과 돌봄이 대를 이어 이어져야 함을 암시합니다.

🌺 🌼

📜 요한일서 4장 7-8절 

“사랑하는 자들아 우리가 서로 사랑하자 사랑은 하나님께 속한 것이니 사랑하는 자마다 하나님으로부터 나서 하나님을 알고 사랑하지 아니하는 자는 하나님을 알지 못하나니 이는 하나님은 사랑이심이라”

 

👉 가족을 넘어 이웃과 심지어 원수까지 사랑하라는 성경의 메시지는, 혈연으로 맺어진 조카를 친자식처럼 사랑하는 마음이 궁극적으로 하나님으로부터 오는 사랑임을 깨닫게 합니다. 이웃 사랑의 출발점으로서 가족 간의 사랑과 돌봄은 매우 중요하며, 이는 하나님께서 공동체에 부여하신 아름다운 질서입니다.

 

☞ ③ 성경과 천자문의 차이점

구분 천자문 성경
사랑의 대상 주로 혈연으로 맺어진 확대 가족 (조카 등) 하나님, 이웃, 약한 자, 온 세상
사랑의 동기 혈연 공동체의 유지와 사회적 도리 하나님께 받은 사랑에 대한 감사, 이웃 사랑의 명령
사랑의 범위 가정과 문중 등 제한적 공동체 온 인류, 모든 창조 세계
결과 가족 간의 화목과 사회 질서 유지 영원한 생명, 하나님 나라의 확장, 하나님 사랑의 증거

 

👉 천자문혈연을 기반으로 한 가족 공동체 내에서의 도리와 사랑을 강조하지만, 성경은 그 혈연을 넘어서 모든 이웃에게 확장되는 사랑을 이야기합니다. 그러나 '제고백숙 유자비아'의 정신, 즉 약하고 보호받아야 할 존재에게 무조건적인 사랑을 베푸는 마음은 성경의 사랑 정신과 일맥상통합니다.

 

☞ ④ 신앙적 메시지

‘제고백숙 유자비아(諸姑伯叔 猶子比兒) : 우리에게 주어진 가족 관계, 특히 다음 세대인 자녀와 조카들에게 친자녀와 같은 사랑과 관심으로 그들의 삶을 보듬고 인도하는 것은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귀한 사명입니다. 우리도 하나님 아버지께 사랑받는 자녀로서, 그 사랑을 흘려보내는 통로가 되어야 합니다.

 

📜 야고보서 1장 27절 

“하나님 아버지 앞에서 정결하고 흠 없는 경건은 곧 고아와 과부를 그 환난 중에 돌보고 또 자기를 지켜 세속에 물들지 아니하는 그것이니라”

 

👉 우리의 사랑과 돌봄은 확대된 가족을 넘어 공동체의 어려운 이웃에게로 나아가야 합니다.

 

👉 나가기

‘제고백숙 유자비아(諸姑伯叔 猶子比兒)단순한 가족 윤리를 넘어, 우리에게 맡겨진 소중한 생명들을 책임감과 사랑으로 돌보라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 하나님께서 세우신 가정이라는 울타리 안에서, 우리의 사랑과 관심이 다음 세대와 주변 이웃에게 확장될 때, 우리는 비로소 하나님의 사랑을 증거하는 복된 존재가 될 것입니다.

 

다음 편에서는 ‘공회형제 동기련지(孔懷兄弟 同氣連枝)’를 통하여 형제 우애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천자문과 성경 목차 바로가기

(2025. 10. 15. 부요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