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혜의 부요함/법률 및 세금 상식

재판 절차-재판 과정의 실제 절차–고소부터 판결까지의 여정

by buyoham 2025. 10. 24.
반응형

재판 절차-재판 과정의 실제 절차–고소부터 판결까지의 여정

 

이번은 제5편으로 이어지는 주제,
**「재판의 실제 절차 – 고소부터 판결까지의 여정」**입니다.
앞선 시리즈(① 법정 용어 → ② 형사·민사 비교 → ③ 법원 구조 → ④ 헌법재판소 vs 대법원)에 이어,
이제 실제 재판이 어떻게 진행되는지를 단계별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 재판의 실제 절차

– 고소장에서 판결문까지, 정의가 세워지는 여정

 

Ⅰ. 사건의 시작: 고소와 고발

🧾 1. 고소(告訴)

  • 피해자가 직접 수사기관에 범죄 사실을 신고하는 것.
  • 예 : “저 사람에게 사기를 당했습니다.”
  • 고소인은 수사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후 재판의 참고인 또는 증인이 됩니다.

🧾 2. 고발(告發)

  • 피해자가 아닌 제3자가 범죄 사실을 신고하는 것.
  • 예 : 시민단체가 부패 공무원을 고발하는 경우.
  • 고발인은 수사 과정에 직접 참여하지는 않지만, 범죄 사실을 사회적으로 알리는 역할을 합니다.

📌 공통점 : 모두 검찰·경찰이 수사를 시작할 수 있는 ‘신호탄’이 됩니다.

 

Ⅱ. 수사 단계 (경찰·검찰의 역할)

🚨 1. 경찰 수사

  • 고소나 고발이 접수되면 경찰이 조사와 증거 수집을 시작합니다.
  • 관련자들을 불러 참고인 조사 → 피의자 조사 순으로 진행합니다.

⚖️ 2. 검찰 송치

  • 경찰 수사가 끝나면 사건은 검찰로 넘어갑니다. (이를 송치라고 합니다.)
  • 검사는 경찰 수사 내용을 검토하고, 추가 수사가 필요하면 다시 지시합니다.

🧾 3. 기소 or 불기소

구분 의미
기소(起訴) 검사가 법원에 재판을 요청하는 것 (재판 시작)
불기소(不起訴) 혐의가 불충분하거나 죄가 경미할 경우, 재판 없이 종결
💬 “기소가 되어야 비로소 ‘재판’이 시작됩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Ⅲ. 재판 단계 (공판 절차)

 

⚖️ 1. 공판 준비

  • 법원은 피고인과 검찰에 **공판기일(재판 날짜)**을 통보합니다.
  • 양측은 증거자료·증인 명단 등을 미리 제출합니다.

⚖️ 2. 공판 진행

한 사건의 진실이 법정에서 드러나는 과정입니다.

순서 절차 내용
개정 선언 판사가 재판 시작을 알림
피고인 신원 확인 이름, 나이, 주소 확인
공소사실 낭독 검사가 범죄 사실 낭독
피고인 진술 혐의 인정 여부 진술
증거 조사 증거물·증인 심문
변론 검사와 변호사 최종 주장
판결 선고 판사가 결론(유죄·무죄) 선고

 

📘 형사재판의 경우

  • 피고인은 무죄로 추정되며(헌법 제27조),
    검사가 유죄를 ‘입증’ 해야 합니다.

📘 민사재판의 경우

  • 원고와 피고가 각자 주장과 증거를 제시하며,
    판사가 법적 책임을 판단합니다.

 

☞ Ⅳ. 판결 이후의 절차

 

⚖️ 1. 항소 (2심)

  • 1심 판결에 불복할 경우, 판결문 송달 후 7일 이내에 항소할 수 있습니다.
  • 고등법원이 다시 사건을 심리합니다.

⚖️ 2. 상고 (3심)

  • 2심 판결에 불복할 경우, 대법원에 상고할 수 있습니다.
  • 단, 상고는 법 적용의 오류에 대해서만 가능합니다.
    (사실관계는 재심 불가)

⚖️ 3. 확정 판결

상고하지 않거나 상고가 기각되면,
그 판결은 확정되어 법적 효력을 가지게 됩니다.
→ 형사: 형 집행 / 민사: 강제집행 가능

 

☞ Ⅴ. 특별 절차 (재심과 헌법소원)

🔄 1. 재심(再審)

  • 확정 판결 이후,
    새로운 증거나 명백한 오류가 있을 때 다시 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억울한 옥살이” 구제 제도

🏛️ 2. 헌법소원

재판 과정에서 기본권 침해가 발생했다고 판단될 경우,
헌법재판소에 직접 구제 요청 가능
→ 예: “법 자체가 위헌이라면, 재판 결과도 위헌!”

 

☞ Ⅵ. 전체 절차 한눈에 보기

고소/고발 ↓ 경찰 수사 ↓ 검찰 송치 ↓ 기소 (or 불기소) ↓ 1심 재판 (지방법원) ↓ 2심 항소 (고등법원) ↓ 3심 상고 (대법원) ↓ 판결 확정 ↓ 집행 or 재심/헌법소원 가능
 

☞ Ⅶ. 마무리 🌿

재판은 단지 ‘형벌을 주는 과정’이 아니라, 사실을 밝히고, 정의를 회복하는 절차입니다.

고소로 시작된 한 사건이 경찰과 검찰의 수사를 거쳐 법정에 서기까지는 많은 사람의 진술, 증거, 판단이 모여 만들어집니다.

 

💬 “법은 냉정하지만, 정의는 따뜻하다.”

진실을 밝히는 여정의 끝에는 늘 ‘정의’가 서 있습니다.

 

📘 다음 편 예고 :
👉 「재판에서 사용되는 주요 증거와 증언의 종류 – 진실을 밝히는 도구들」

 

바로가기

1.법정 용어 한눈에 정리하기

2.형사재판과 민사재판의 차이 

3.법원의 구조와 역할-지방법원 고등법원 대법원

4.헌법재판소와 대법원의 차이

5.재판 과정의 실제절차-고소부터 판결까지의 여정

 6.증거와 증언-재판에서 사용되는 주요 증거와 증언의 종류

 7.항소 · 상고 · 항고 · 재항고 종합 정리

☞ 8.재심과 특별사면

☞ 9.형의 종류와 집행-징역, 금고, 벌금 

☞ 10. 집행유예와 가석방의 차이

☞ 11. 기소와 기소유예

☞ 12. 공소제기와 공소시효

 

(2025. 10. 24. 부요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