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국어 어휘 비교 - 작다(小)와 적다(少)
외국인 학습자뿐 아니라 한국인도 가끔 혼동하는 단어가 있습니다. 바로 **“작다(小)”**와 **“적다(少)”**입니다.
발음도 비슷하고 쓰임도 유사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의미 영역이 다릅니다.
오늘은 이 두 단어를 비교하며 차이를 명확히 살펴보겠습니다.
1. 어원과 한자
- 작다(小)
- 한자 : 小
- 훈음 : 작을 소
- 뜻 : 크기가 ‘작다’, 규모가 ‘작다’, 덩치가 ‘작다’
- 초점 : 크기나 부피 → small
☞ “작다”는 크기를 말해요
저는 아이 손에 작은 사과 하나를 쥐여주었습니다.
“봐, 이 사과는 크기가 작지?”
아들이 고개를 끄덕입니다.
- 작은 집 (house is small)
- 작은 강아지 (puppy is small)
- 작은 소리 (voice is small)
이처럼 ‘작다’는 눈에 보이는 크기나 규모를 나타내는 말입니다.
- 적다(少)
- 한자 : 少
- 훈음 : 적을 소
- 뜻 : 양이 ‘적다’, 수량이 ‘적다’, 경험이 ‘적다’
- 초점 : 수량이나 정도 → few, little
☞ “적다”는 양을 말해요
그다음, 저는 사과를 잘라서 접시에 올려주었습니다.
“이번엔 사과 조각이 몇 개 없지? 양이 적은 거야.”
아들이 다시 고개를 끄덕입니다.
- 돈이 적다 (little money)
- 사람이 적다 (few people)
- 시간이 적다 (little time)
이처럼 ‘적다’는 수량이나 분량을 말합니다.
2. 의미 비교
📌 “작다 vs. 적다” 비교 정리표
구분 | 작다 (小) | 적다 (少) |
의미 | 크기·규모가 크지 않음 | 수량·분량이 많지 않음 |
영어 | small, little | few, little |
한자 | 小 (작을 소) | 少 (적을 소) |
예시 | 작은 집, 작은 강아지, 작은 소리 | 돈이 적다, 사람이 적다, 시간이 적다 |
기억하기 | 눈에 보이는 크기 | 세어볼 수 있는 양 |
3. 예문으로 차이 느끼기
- 작다(小)
- “이 집은 너무 작다.” → 집의 크기가 작은 것.
- “내 글씨가 너무 작아서 친구가 못 읽는다.” → 글자의 크기.
- 적다(少)
- “요즘 시간이 너무 적다.” → 시간이 부족하다는 의미.
- “그는 경험이 적기 때문에 더 배워야 한다.” → 경험의 양이 적음.
4. 혼동하기 쉬운 표현
- ❌ “키가 적다” → 잘못된 표현
- ✅ “키가 작다”
- ❌ “돈이 작다” → 잘못된 표현
- ✅ “돈이 적다”
즉, ‘작다’는 크기, ‘적다’는 양이라고 정리하면 훨씬 쉽습니다.
5. 정리
- 작다(小) = 크기, 부피, 규모 → 공간, 물체, 키, 글씨 등
- 적다(少) = 수량, 정도, 양 → 돈, 시간, 경험, 지식 등
👉 기억법
- 작다 = size(사이즈)
- 적다 = amount(양)
✍️ 한국어 학습자라면 이 두 단어의 차이를 명확히 구분해 사용하면 훨씬 더 자연스러운 표현을 할 수 있습니다.
(2025. 09. 25. 부요함)
반응형
'지혜의 부요함 > 우리말 바로 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 “적다”의 두 가지 뜻 (0) | 2025.09.24 |
---|---|
묻다(問) vs. 묻다(埋) – 같은 발음, 다른 의미 (0) | 2025.09.23 |
맞다와 맡다 - 맞다(對, 正 / 打) vs. 맡다(任 / 嗅) (1) | 2025.09.22 |
가르치다 가리키다 (0) | 2025.09.21 |
적다와 작다의 차이점과 '가능성이 적다/작다' 표현 분석 (0) | 2025.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