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혜의 부요함/우리말 바로 쓰기

가르치다 가리키다

by buyoham 2025. 9. 21.
반응형

가르치다(敎)와 가리키다(指)

✍️ 들어가기

한국어에는 모양이나 발음이 비슷해 헷갈리기 쉬운 단어들이 많습니다. 그중 대표적인 예가 바로  **「가르치다(敎, teach)」와 「가리키다(指, point/indicate)」** 입니다. 두 단어는 발음이 유사하고, 누군가에게 무언가를 전달한다는 느낌을 주지만 실제 의미와 쓰임은 전혀 다릅니다. 이번 글에서는 두 단어를 의미, 사용 맥락, 예문을 통해 명확하게 비교해 보겠습니다.


 

 

🔹 1. 가르치다 (敎, to teach, instruct)

  • 의미 : 지식, 기술, 습관, 도덕 등을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거나 익히게 하는 것.
  • 주체 : 주로 선생(先生), 부모(父母), 지도자 등.
  • 대상 : 교육받는 사람.
  • 예문:
    • 선생님이 학생들에게 수학을 가르친다.
      (The teacher teaches math to the students.)
    • 부모님은 아이에게 예절(禮節, manners)을 가르쳤다.
      (Parents taught manners to their child.)

🔹 2. 가리키다 (指, to point, indicate, designate)

  • 의미 : 손가락이나 말, 기호 등을 통해 사물이나 방향을 지시하거나 특정 사실을 나타내는 것.
  • 주체 : 누구나 가능.
  • 대상 : 사물, 장소, 방향, 시간, 추상적 개념.
  • 예문:
    • 아이가 하늘을 손가락으로 가리켰다.
      (The child pointed at the sky with a finger.)
    • 시계는 세 시를 가리키고 있다.
      (The clock indicates three o’clock.)
    • 보고서는 문제의 원인을 가리켰다.
      (The report pointed out the cause of the problem.)

🔹 3. 비교 정리

구분 가르치다 (敎, teach) 가리키다 (指, point/indicate)
기본 의미 지식·기술·습관을 전달하다 대상·방향·사실을 지시하다
주체 교사, 부모, 지도자 등 누구나 가능
대상 사람 (학생, 제자, 아이 등) 사물, 장소, 시간, 추상적 개념
예시 영어를 가르치다 (teach English) 시간을 가리키다 (point/indicate the time)

🔹 나가기

비슷해 보이는 **「가르치다(敎)」와 「가리키다(指)」**는 의미상 큰 차이가 있습니다.

  • 가르치다 → 교육 · 전달 (education, teaching)
  • 가리키다 → 지시 · 표시 (pointing, indicating)

이 구분만 기억해도 글쓰기나 회화에서 훨씬 더 정확하고 자연스러운 표현을 할 수 있습니다.

(2025. 09. 21. 부요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