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맞다와 맡다 - 맞다(對, 正 / 打) vs. 맡다(任 / 嗅)
🔹 들어가기
한국어에서 자주 혼동되는 단어 중 하나가 바로 "맞다와 맡다"입니다. 두 단어는 발음이 비슷해 글쓰기나 말하기에서 쉽게 잘못 사용되지만, 실제 의미와 쓰임은 완전히 다릅니다. 이번 글에서는 두 단어를 뜻, 용례, 비교표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 1. 맞다 (對, 正 / 打_ to be correct, right / to be hit)
- 의미 1 (對 / 正): 올바르다, 옳다 → to be right, correct
- 예문:
- 네 말이 맞다(對 / 正). → Your words are right.
- 상황에 맞는 행동을 해야 한다. → You should act appropriately.
- 예문:
- 의미 2 (打) : 공격이나 영향을 받다 → to be hit, to be affected by
- 예문:
- 그는 공에 머리를 맞았다(打). → He was hit on the head by the ball.
- 벽에 팔이 맞았다(打). → My arm hit the wall.
- 예문:
🔹 2. 맡다 (任 / 嗅, to take charge / to smell)
- 의미 1 (任) : 책임이나 역할을 떠맡다 → to take charge of, to undertake
- 의미 2 (嗅): 냄새를 맡다 → to smell, to sniff
- 예문:
- 그는 이번 프로젝트를 맡았다. (He took charge of this project.)
- 아이가 강아지 냄새를 맡았다. (The child smelled the puppy.)
- 나는 교회의 재정을 맡고 있다. (I am in charge of the church’s finances.)
🔹 3. 비교 정리
구분 | 맞다 ( 對, 正 / 打) | 맡다 (任 / 嗅) |
기본 의미 | 옳다 / (공격을) 당하다 | 책임을 지다 / 냄새를 느끼다 |
주체 | 사실·판단의 대상 / 피해자 | 책임을 지는 사람 / 냄새 맡는 사람 |
용례 | 답이 맞다, 공을 맞다 | 일을 맡다, 냄새를 맡다 |
영어 | to be right / to be hit | to take charge / to smell |
🔹 4. 단어 분석
① 對 (대) – 맞다, 옳다, 상대하다
기본 정보
- 한자 : 對
- 훈음 : 대
- 중국어 발음 : duì
- 영어 뜻 : to face, to correct, to pair, right
구성
- ⺈(칼 도) + 寸(손가락 촌) + 又(또 우)
- 원래 의미 : 서로 마주 보다, 대응하다 → “옳다, 맞다”의 의미 확장
주요 뜻 및 활용
- 옳다, 정확하다 → “답이 맞다(對)”
- 마주하다, 상대하다 → “적과 대치하다”
- 대응하다, 대응책 → 對策(대책), 對應(대응)
② 打 (타) – 맞다, 치다, 부딪치다
기본 정보
- 한자 : 打
- 훈음 : 타
- 중국어 발음 : dǎ
- 영어 뜻 : to hit, strike, beat, attack
구성
- 扌(손 수) + 丁(정사각형 모양)
- 의미 : 손으로 치다 → 맞다, 타격을 받다
주요 뜻 및 활용
- 치다, 때리다 → 打擊(타격), 打倒(타도)
- 부딪치다, 맞다 → 공에 머리를 맞다
- 경기에서 치다 → 打球(타구), 타구를 치
✅ 정리
- “맞다(옳다 / 정확하다)” → 對 또는 正
- “맞다(치다 / 부딪치다)” → 打
- 맡다(任 / 嗅) → 책임지다, 냄새 맡다
문맥에 따라 올바른 단어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025. 09. 22. 부요함)
반응형
'지혜의 부요함 > 우리말 바로 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르치다 가리키다 (0) | 2025.09.21 |
---|---|
적다와 작다의 차이점과 '가능성이 적다/작다' 표현 분석 (0) | 2025.01.29 |
환장 뜻 – 환장의 뜻, 환장하다, 환장하겠네 (0) | 2025.01.24 |
옐로 옐로우 - 옐로와 옐로우의 올바른 표기법 (0) | 2025.01.17 |
빨강 빨간색 - 빨강과 빨간색의 차이점 (0) | 2025.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