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혜의 부요함/우리말 바로 쓰기

한국어 “적다”의 두 가지 뜻

by buyoham 2025. 9. 24.
반응형

한국어 “적다”의 두 가지 뜻

 

👍 “적다”는 한국어에서 아주 흥미로운 동음이의어(同音異義語)입니다. 

한국어에는 발음은 같지만 전혀 다른 의미를 가진 단어들이 많습니다. 그중 한 가지가 바로 **“적다”**입니다.
하나는 **수량이 적다(少)**는 뜻이고, 다른 하나는 **글이나 내용을 적다(記)**라는 뜻입니다.

 

1️⃣ 적다 (少, to be few)

  • 한자 : 少 (적을 소 → 한국어 발음은 “적다”)
  • 뜻 : 수량이나 정도가 많지 않다, 부족하다.
  • 영어 : to be few, little, scarce
  • 예문 :
    • 시간이 적다 → There is little time.
    • 경험이 적다 → (Someone) has little experience.
    • 손님이 오늘은 유난히 적다 → There are unusually few customers today.

 

2️⃣ 적다 (記, to write down)

  • 한자 : 記 (기록할 기 → 한국어 동사로 “적다”)
  • 뜻 : 글자나 기호로 기록하다, 메모하다.
  • 영어 : to write down, to note
  • 예문 :
    • 노트에 이름을 적다 → to write down one’s name in a notebook.
    • 강의 내용을 꼼꼼히 적다 → to take detailed notes of the lecture.
    • 중요한 사항을 달력에 적다 → to note important matters on the calendar.

 

📌 혼동하지 않는 법

  1. **文脈(문맥)**으로 구분한다
    • 수량, 정도, 양과 관련 → 少 (to be few)
    • 글, 기록, 메모와 관련 → 記 (to write down)
  2. 한자로 기억하면 명확하다
    • 少 : 적다 = 많지 않다
    • 記 : 적다 = 글로 남기다

 

🔎 비교표: 적다 (少) vs. 적다 (記)

구분 적다 (少) 적다 (記)
한자 少 (적을 소) 記 (기록할 기)
수량이나 정도가 많지 않다 글자나 기호로 기록하다
영어 to be few, little, scarce to write down, to note
대표 예문 - 시간이 적다 (There is little time)

- 경험이 적다 (to have little experience)

- 손님이 오늘은 유난히 적다 (Few customers today)
- 이름을 노트에 적다 (to write down one’s name)

- 강의 내용을 꼼꼼히 적다 (to take detailed notes)

- 중요한 일정을 달력에 적다 (to note important matters)

 

📝 나가기

“한국어의 ‘적다’는 발음은 같지만 전혀 다른 두 가지 세계를 가집니다.

 

하나는 **부족함(少)**을, 다른 하나는 **기록함(記)**을 뜻하지요. 한자로 연결해 기억하면, 한국어의 깊이와 뉘앙스를 더 풍성하게 느낄 수 있습니다.”

 

(2025. 09. 24. 부요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