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혜의 부요함/우리말 바로 쓰기

낳다 낫다 낮다 - 헷갈리기 쉬운 단어, 낳다, 낫다, 낮다

by buyoham 2025. 9. 26.
반응형

헷갈리기 쉬운 단어 - 낳다, 낫다, 낮다

 

한국어에는 발음은 비슷하지만 뜻은 전혀 다른 단어들이 있습니다.
그중 한 가지가 “낳다, 낫다, 낮다”입니다.
하나씩 정리해 보겠습니다.


1. 낳다 (to give birth, produce)

  • 뜻 : 아이를 출산하다, 어떤 결과나 산물을 만들어 내다
  • 영어 : to give birth, to produce
  • 한자 : 出生(출생), 產(낳을 산)과 연결
  • 예문 :
    • 그녀는 건강한 아이를 낳았다. (She gave birth to a healthy baby.)
    • 노력은 좋은 결과를 낳는다. (Effort produces good results.)

👉 “낳다”는 생명을 태어나게 하거나, 결과를 만들어내는 것을 말합니다.

 


2. 낫다 (to recover, to be better)

  • 뜻 : 병이나 상처 등이 회복되다, 상태가 더 좋아지다
  • 영어 : to recover, to get well, to be better
  • 한자 : 愈(나을 유)와 연결
  • 예문 :
    • 감기가 거의 나았다. (I have almost recovered from the cold.)
    • 이 방법이 저 방법보다 훨씬 낫다. (This way is better than that.)

👉 “낫다”는 아픔에서 회복되거나, 비교할 때 더 좋은 상태를 나타낼 때 씁니다.

 

3. 낮다 (to be low)

  • 뜻 : 높이가 덜하다, 정도가 적다
  • 영어 : to be low
  • 한자 : 低(낮을 저)와 연결
  • 예문 :
    • 이 산은 저 산보다 낮다. (This mountain is lower than that one.)
    • 오늘은 기온이 낮다. (The temperature is low today.)

👉 “낮다”는 물리적 위치, 수준, 정도가 낮음을 표현합니다.


📌 “낳다, 낫다, 낮다” 비교 정리표


단어 영어 예문
낳다 출산하다, 산출하다 to give birth, produce 아이를 낳다, 결과를 낳다
낫다 회복하다, 더 좋다 to recover, to be better 병이 낫다, 이 방법이 낫다
낮다 높지 않다, 정도가 적다 to be low 산이 낮다, 기온이 낮다

정리

  • 낳다 : 생명이나 결과를 **“생산”**하는 것
  • 낫다 : 상태가 **“회복”**되거나 비교 우위를 표현
  • 낮다 : 높이나 수준이 **“아래”**에 있는 것

👉 세 단어는 소리만 비슷할 뿐, 의미는 완전히 다르니 문맥에 맞게 구분해서 써야 합니다.

 

(2025.09. 26. 부요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