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지혜의 부요함118

낳다 낫다 낮다 - 헷갈리기 쉬운 단어, 낳다, 낫다, 낮다 헷갈리기 쉬운 단어 - 낳다, 낫다, 낮다 한국어에는 발음은 비슷하지만 뜻은 전혀 다른 단어들이 있습니다.그중 한 가지가 “낳다, 낫다, 낮다”입니다.하나씩 정리해 보겠습니다.1. 낳다 (to give birth, produce)뜻 : 아이를 출산하다, 어떤 결과나 산물을 만들어 내다영어 : to give birth, to produce한자 : 出生(출생), 產(낳을 산)과 연결예문 :그녀는 건강한 아이를 낳았다. (She gave birth to a healthy baby.)노력은 좋은 결과를 낳는다. (Effort produces good results.)👉 “낳다”는 생명을 태어나게 하거나, 결과를 만들어내는 것을 말합니다. 2. 낫다 (to recover, to be better)뜻 : 병이나 .. 2025. 9. 26.
한국어 어휘 비교 - 작다 적다(2) 한국어 어휘 비교 - 작다(小)와 적다(少)(2) 외국인 학습자뿐 아니라 한국인도 가끔 혼동하는 단어가 있습니다. 바로 **“작다(小)”**와 **“적다(少)”**입니다.발음도 비슷하고 쓰임도 유사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의미 영역이 다릅니다. 오늘은 이 두 단어를 비교하며 차이를 명확히 살펴보겠습니다.1. 어원과 한자작다(小)한자 : 小훈음 : 작을 소뜻 : 크기가 ‘작다’, 규모가 ‘작다’, 덩치가 ‘작다’초점 : 크기나 부피 → small ☞ “작다”는 크기를 말해요저는 아이 손에 작은 사과 하나를 쥐여주었습니다.“봐, 이 사과는 크기가 작지?”아들이 고개를 끄덕입니다.작은 집 (house is small)작은 강아지 (puppy is small)작은 소리 (voice is small)이처럼 ‘작다.. 2025. 9. 25.
밤 보관법 - 밤 오래 보관하고 맛있게 먹는 법 밤(栗) 오래 보관하고 맛있게 먹는 법 🌰 밤(栗) 오래 보관하고 맛있게 먹는 법들어가기가을 산에서 갓 따온 밤은 향도 진하고 맛도 고소합니다. 하지만 제대로 보관하지 않으면 금세 벌레가 생기거나 맛이 떨어지죠. 오늘은 밤을 장기간 보관하는 방법, 단기간 보관하는 방법, 그리고 껍질을 손쉽게 까는 방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밤 보관 방법장기 보관 – 냉동 보관생밤을 깨끗이 씻고 물기를 완전히 말린 뒤, 껍질째 지퍼백에 담아 냉동실에 보관합니다.필요할 때 꺼내어 뜨거운 물에 살짝 담그면 껍질이 쉽게 벗겨집니다.이렇게 하면 수개월 이상 신선하게 즐길 수 있습니다.단기 보관 – 냉장 보관신문지에 싸서 습기를 적당히 유지한 후, 밀폐용기나 비닐봉지에 넣어 냉장 보관합니다.약 2~3주 정도는 신선하게 먹을 .. 2025. 9. 24.
한국어 “적다”의 두 가지 뜻 한국어 “적다”의 두 가지 뜻 👍 “적다”는 한국어에서 아주 흥미로운 동음이의어(同音異義語)입니다. 한국어에는 발음은 같지만 전혀 다른 의미를 가진 단어들이 많습니다. 그중 한 가지가 바로 **“적다”**입니다.하나는 **수량이 적다(少)**는 뜻이고, 다른 하나는 **글이나 내용을 적다(記)**라는 뜻입니다. 1️⃣ 적다 (少, to be few)한자 : 少 (적을 소 → 한국어 발음은 “적다”)뜻 : 수량이나 정도가 많지 않다, 부족하다.영어 : to be few, little, scarce예문 :시간이 적다 → There is little time.경험이 적다 → (Someone) has little experience.손님이 오늘은 유난히 적다 → There are unusually few cu.. 2025. 9. 24.
묻다(問) vs. 묻다(埋) – 같은 발음, 다른 의미 묻다(問) vs. 묻다(埋) – 같은 발음, 다른 의미 들어가기한국어에는 같은 발음을 가지고 있지만, 뜻이 전혀 다른 단어들이 많습니다. 그중 한 가지가 바로 “묻다”입니다.“묻다”는 한자(漢字)로 풀면 "問(물을 문)"과 "埋(묻을 매)"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두 단어의 차이를 살펴보고,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지 정리해 보겠습니다.. 묻다(問) – 물어보다☞ 기본정보○ 한자 : 問○ 훈음 : 물을 문○ 뜻 : 상대에게 질문하거나 답을 요구하다. → to ask, inquire○ 예시 : 問答(문답), 質問(질문), 訪問(방문)○ 음(중국어) : 문 (wèn)○ 영어 뜻 : to ask, to inquire○ 구성 : 門(문 문, 문/문짝) + 口(입 구) ☞ 글자 구조와 의.. 2025. 9. 23.
맞다와 맡다 - 맞다(對, 正 / 打) vs. 맡다(任 / 嗅) 맞다와 맡다 - 맞다(對, 正 / 打) vs. 맡다(任 / 嗅) 🔹 들어가기한국어에서 자주 혼동되는 단어 중 하나가 바로 "맞다와 맡다"입니다. 두 단어는 발음이 비슷해 글쓰기나 말하기에서 쉽게 잘못 사용되지만, 실제 의미와 쓰임은 완전히 다릅니다. 이번 글에서는 두 단어를 뜻, 용례, 비교표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 1. 맞다 (對, 正 / 打_ to be correct, right / to be hit)의미 1 (對 / 正) : 올바르다, 옳다 → to be right, correct예문:네 말이 맞다(對 / 正). → Your words are right.상황에 맞는 행동을 해야 한다. → You should act appropriately.의미 2 (打) : 공격이나 영향을 받다 → to be.. 2025. 9.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