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도 기준 중위소득 확정
들어가기
보건복지부(장관 정은경)는 7월 31일(목) 오후 3시 30분에 제77차 중앙생활보장위원회를 개최하여, 2026년도 기준 중위소득과 기초생활보장 급여별 선정기준 및 최저보장 수준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습니다.
2025년 7월 31일, 보건복지부는 4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을 2025년(6,097,773원)보다 6.51% 인상된 6,494,738원으로 발표했습니다. 이는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폭의 상승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6년 대한민국 가구 중위소득을 살펴보고, 이것이 복지 정책의 주요 기준으로 어떻게 활용되는지 분석합니다.
또한 2025년 평균 가구소득과 비교해 중위소득의 의미를 함께 살펴봅니다.
1. 중위소득이란?
기준 중위소득은 보건복지부 장관이 급여기준 등에 활용하기 위하여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고시하는 국민 가구소득의 중간 값입니다.
2025년 현재 기준 중위소득은 14개 부처 80여 개 복지 사업의 선정기준으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중위소득은 모든 가구를 소득 순으로 나열했을 때, 정확히 중간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을 말합니다. 절반의 가구는 이보다 많고, 나머지 절반은 이보다 적습니다.
평균소득과 달리 소득 분포의 왜곡을 줄여주며, 기초생활보장, 의료급여, 주거급여 등 복지 수급 자격 산정의 핵심 기준이 됩니다.
2. 2026년 주요 변화
○ 4인 가구 : 월 6,494,738원 (전년 대비 +6.51%)
○ 1인 가구 : 월 2,562,000원 (전년 대비 +7.20%)
○ 이 조정으로 약 4만 명이 새롭게 복지 수급 대상에 포함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3. 2025년 평균 가구소득과의 비교
○ 2025년 평균 가구소득은 연간 약 72,000,000원(월 약 6,000,000원) 수준으로, 전년 대비 약 5~6% 증가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공식 통계 발표 후 업데이트 예정)
○ 평균 소득은 상위 고소득 가구의 영향으로 일반 가구보다 높게 나타나며, 따라서 중위소득과 비교 시 소득 불평등 실태를 가늠하는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 중위소득은 “전형적인 가구”의 생활수준을 더 정확하게 반영하여 복지 정책 설계에 필수적 입니다.
4. 의미와 파급효과
○ 중위소득 기준이 오르면 복지 수급 기준도 높아져 더 많은 가구가 혜택을 받습니다.
○ 생활비 상승과 물가 인상을 반영하는 정책적 조치를 취하게 됩니다.
○ 경제적 불평등 해소 및 사회 안전망 강화 조치를 취하게 됩니다.
5. 5년간 중위소득 변화 그래프 및 표
연도 | 4인 가구 중위소득 (원) | 전년 대비 증감률 (%) |
2022 | 5,121,080 | 2.68 |
2023 | 5,400,964 | 5.47 |
2024 | 5,729,913 | 6.09 |
2025 | 6,097,773 | 6.42 |
2026 | 6,494,738 | 6.51 |
나가기
2026년 4인 가구 중위소득 649만 원은 사상 최대 인상폭을 기록했으며, 이를 통해 복지 안전망이 확대되고 수혜 대상이 늘어납니다.
정부는 이러한 기준 상향을 통해 취약계층을 보다 폭넓게 보호하고, 변화하는 경제 환경에 맞춘 지원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025. 08. 09. 부요함)
'재정의 부요함 > 정부 지원금 &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림으로 보는 소비쿠폰 신청방법 (0) | 2025.07.21 |
---|---|
민생회복 소비쿠폰 완벽 정리 - 최대 55만 원, 어떻게 신청하나요? (0) | 2025.07.18 |
‘노령연금’과 ‘기초연금’은 뭐가 다른가요? (2) | 2024.09.19 |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 (5) | 2024.09.11 |
주민등록번호 변경 요령 (3) | 2024.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