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자와 성경/천자문과 성경

한자와 성경 부록1-한자, 그 속에 담긴 지혜의 비밀-육서(六書)로 풀어보는 한자의 원리

by buyoham 2025. 11. 9.
반응형

한자와 성경 부록1-한자, 그 속에 담긴 지혜의 비밀-육서(六書)로 풀어보는 한자의 원리

설문해자의 육서에 대한 설명 - 출처 = 나무위키

 시작하며 : 한자를 읽는 또 하나의 눈, 육서

오늘은 우리말과 글의 뿌리 깊은, 한자의 세계를 탐험하는 특별한 시간을 가져보려 합니다.

 

'한자와 성경' 시리즈를 통해 천자문의 구절들이 담고 있는 전통적 지혜와 성경적 통찰을 함께 묵상하고 있는데요. 한자의 의미를 이해하고, 고대인들의 사상까지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열쇠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바로 한자를 만드는 여섯 가지 원리, **'육서(六書)'**입니다.

 

육서는 상형(象形), 지사(指事), 회의(會意), 형성(形聲), 전주(轉注), 가차(假借) 이렇게 여섯 가지로 나뉩니다.

모든 한자는 이 여섯 가지 원리 중 하나에 따라 만들어졌거나 활용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 원리들을 알게 되면 한자가 그저 복잡한 기호가 아니라, 그림처럼 뜻을 담고 소리를 빌려오는 지혜로운 문자 체계임을 깨닫게 될 것입니다.

 

그럼, 육서의 세계로 함께 들어가 보겠습니다. 🙏


1. 상형자(象形字) : 사물의 모습을 그대로 본뜬 글자

  • 의미 : 자연이나 사물의 구체적인 형태를 그림처럼 본떠 만든 글자입니다. 육서 중 가장 먼저 만들어졌고, 가장 직관적인 한자 형성 원리입니다.
  • 특징 :
    • 대상이 되는 사물의 특징적인 모양을 간결하게 표현합니다.
    • 구체적인 사물이나 현상을 나타내는 데 주로 사용됩니다.
  • 예시 :
    • 日 (해 일) : 둥근 해의 모습을 본떴습니다.
    • 月 (달 월) : 반달 모양을 그렸습니다.
    • 山 (뫼 산) : 세 개의 봉우리가 솟아있는 산의 모습입니다.
    • 水 (물 수) : 흘러가는 물줄기의 형상입니다.
    • 木 (나무 목) : 나무의 줄기, 가지, 뿌리 모양을 나타냅니다.

2. 지사자(指事字) : 추상적인 개념을 점이나 선으로 가리키는 글자

  • 의미 : 눈에 보이지 않는 추상적인 개념이나 사물의 위치, 상태 등을 점이나 선과 같은 부호로 가리켜 나타낸 글자입니다. 상형자 다음으로 많이 나타납니다.
  • 특징 :
    • 대상이 추상적이거나 형태가 없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 기존의 상형자에 보조 부호를 더하여 의미를 명확히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예시 :
    • 上 (위 상) : 기준선 위에 점 하나를 찍어 '위'라는 위치를 가리킵니다.
    • 下 (아래 하) : 기준선 아래에 점 하나를 찍어 '아래'라는 위치를 나타냅니다.
    • 本 (근본 본) : 나무 목(木)의 아래 부분에 점을 찍어 '나무의 뿌리', 즉 '근본'을 가리킵니다.
    • 末 (끝 말) : 나무 목(木)의 위쪽 부분에 점을 찍어 '나무의 끝', 즉 '말단'을 나타냅니다.
    • 刃 (칼날 인) : 칼 도(刀)의 날카로운 부분에 점을 찍어 '칼날'을 가리킵니다.

3. 회의자(會意字) : 뜻을 모아 새로운 의미를 만드는 글자

  • 의미 : 이미 만들어진 두 개 이상의 한자(상형자나 지사자)를 결합하여, 각 글자의 의미를 합쳐 새로운 뜻을 만들어내는 글자입니다. '뜻을 모아서 새로운 뜻을 만듦'을 의미합니다.
  • 특징 :
    • 결합된 글자들의 원래 의미를 통해 새로운 글자의 의미를 유추할 수 있습니다.
    • 다양한 개념과 사상을 표현하는 데 활용됩니다.
  • 예시 :
    • 林 (수풀 림) : 나무 목(木) 두 개가 합쳐져 '나무가 많은 곳', 즉 '수풀'을 뜻합니다.
    • 森 (빽빽할 삼) : 나무 목(木) 세 개가 합쳐져 '나무가 아주 우거진 숲', '빽빽하다'는 뜻을 나타냅니다.
    • 明 (밝을 명) : 해 일(日)과 달 월(月)이 합쳐져 '해와 달처럼 밝다'는 뜻입니다.
    • 休 (쉴 휴) : 사람 인(人)과 나무 목(木)이 합쳐져 '사람이 나무 밑에서 쉬는 모습'을 나타냅니다.
    • 男 (사내 남) : 밭 전(田)과 힘 력(力)이 합쳐져 '밭에서 힘써 일하는 사람', 즉 '사내'를 뜻합니다.

⚭ ⚭ ⚭ ⚭ ⚭ ⚭ ⚭ ⚭ ⚭ ⚭ ⚭

⚭ ⚭ ⚭ ⚭ ⚭ ⚭ ⚭ ⚭ ⚭ ⚭ ⚭

4. 형성자(形聲字) : 뜻과 소리가 결합된 가장 많은 글자

  • 의미 : 뜻을 나타내는 부분(의부, 形符)과 소리를 나타내는 부분(성부, 聲符)이 결합하여 만들어진 글자입니다. 전체 한자의 8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가장 많은 한자가 이 원리로 만들어졌습니다.
  • 특징 :
    • 한자를 읽고 의미를 파악하는 데 가장 중요한 원리입니다.
    • 의부(뜻 요소)는 글자의 의미 범주를, 성부(소리 요소)는 글자의 대략적인 발음을 알려줍니다.
    • 시간이 지나면서 성부의 발음이 변한 경우도 많아 주의가 필요합니다.
  • 예시 :
    • 江 (강 강) :
      • 氵(삼수변) : 물을 뜻하는 의부 (形符).
      • 工(장인 공) : '공'이라는 소리를 나타내는 성부 (聲符). (발음 '강'과 '공'이 유사하죠.)
    • 淸 (맑을 청) :
      • 氵(삼수변) : 물을 뜻하는 의부.
      • 靑(푸를 청) : '청'이라는 소리를 나타내는 성부.
    • 洋 (바다 양) :
      • 氵(삼수변) : 물을 뜻하는 의부.
      • 羊(양 양) : '양'이라는 소리를 나타내는 성부.
    • 聞 (들을 문) :
      • 門(문 문) : '문'이라는 소리를 나타내는 성부.
      • 耳(귀 이) : 귀로 듣는다는 뜻의 의부.

5. 전주자(轉注字) : 뜻이 확장되거나 전용되어 파생된 글자

  • 의미 : 이미 있는 한자의 의미가 확장되거나 파생되어 새로운 의미를 나타내게 된 글자입니다. 본래의 뜻에서 다른 뜻으로 '굴러서 옮겨가는' 방식으로 쓰입니다.
  • 특징 :
    • 하나의 글자가 서로 통하는 여러 뜻을 가집니다.
    • 동의어 또는 유의어가 파생되는 과정을 설명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 예시 :
    • 考 (상고할 고) : 원래는 '늙은이'를 뜻하는 상형자였으나, 늙은이는 경험이 많아 깊이 '생각하고 살핀다'는 의미로 확장되어 '상고하다, 생각하다'는 뜻으로 쓰입니다.
    • 老 (늙을 로) : '늙은이'를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글자로, '고(考)'와 그 의미가 서로 통하며 파생된 관계에 있다고 봅니다.

6. 가차자(假借字) : 소리를 빌려 쓰는 글자

  • 의미 : 동음이의어의 원리를 이용하여, 의미가 없는 글자를 소리(음)만 빌려 사용하는 글자입니다. 특히, 특정 개념을 나타낼 한자가 없을 때 기존 한자의 음만 빌려 쓰는 경우입니다.
  • 특징 :
    • 외래어 표기나 추상적인 개념을 표현할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 글자의 본래 의미와는 상관없이 음만 빌려 옵니다.
  • 예시 :
    • 我 (나 아) : 원래는 '톱니' 모양을 본뜬 상형자였으나, '나'라는 인칭대명사를 나타낼 글자가 없어 '아'라는 소리를 빌려 '나'라는 뜻으로 사용되었습니다.
    • 來 (올 래) : 원래는 '보리'를 뜻하는 상형자였으나, '오다'라는 의미를 나타낼 한자가 없어 '래'라는 소리를 빌려 '오다'라는 뜻으로 사용되었습니다.

✨ 마치며 : 육서를 통해 만나는 한자의 깊이

오늘 이렇게 한자를 만드는 여섯 가지 원리, 육서에 대해 함께 살펴보았습니다.

 

한 글자 한 글자에 고대인들의 관찰력과 지혜, 그리고 논리적인 사고가 담겨 있음을 깨닫는 시간이었습니다.

이러한 육서의 원리를 이해하면 천자문은 물론, 다양한 한자들이 왜 그러한 형태를 가지며 어떤 의미를 내포하는지 훨씬 더 선명하게 보입니다.

 

 천자문과 성경 목차 바로가기

 

(2025. 11. 9. 부요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