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53

낙찰 후 세입자 문제 – 대항력 있는 세입자 vs 없는 세입자 (시리즈 3편) 낙찰 후 세입자 문제 – 대항력 있는 세입자 vs 없는 세입자 (시리즈 3편) ☌ 낙찰 후 세입자 문제 – 대항력 있는 세입자 vs 없는 세입자 (시리즈 3편) 경매나 공매를 통해 낙찰을 받았다고 해서 모든 일이 끝나는 것은 아닙니다.잔금을 납부하고 소유권을 이전받아도, 기존 세입자가 점유하고 있다면 명도(집을 비우게 하는 절차) 문제가 생깁니다.특히 세입자가 대항력이 있는지 없는지에 따라 낙찰자의 부담과 대응 방식이 크게 달라집니다.☞ 1️⃣ 세입자의 대항력이란?대항력이란, 임차인이 제3자(새로운 소유자)에게도 임차권을 주장할 수 있는 힘을 말합니다.즉, 집주인이 바뀌어도 “나는 법적으로 이 집에서 계속 살 권리가 있다”라고 주장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 대항력 발생 요건주택임대차보호법 기준주민.. 2025. 9. 30.
경매와 공매, 무엇이 어떻게 다를까? (시리즈 2편) 경매와 공매, 무엇이 어떻게 다를까? (시리즈 2편) ☌ 경매와 공매의 차이 & 참여 방법부동산 투자에 관심 있는 분들이라면 한 번쯤 들어본 용어가 있습니다. 바로 경매와 공매입니다.이 두 가지는 이름은 비슷하지만 실제 진행 방식과 법적 절차가 많이 다릅니다.오늘은 경매와 공매의 차이와, 각각 참여하는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경매란?경매는 법원이 주관하는 부동산, 동산, 권리 등을 강제로 처분하는 절차를 말합니다.주로 채무자가 돈을 갚지 못하거나, 세금 체납 등의 사유로 법원이 채권자를 보호하기 위해 진행합니다. ▶ 특징주관: 법원절차: 법원에 입찰서 제출 → 개찰 → 낙찰 → 매각허가 → 잔금 완납 → 소유권 이전대상: 부동산이 주 대상이지만, 차량·권리·주식 등도 가능장점: 시세보.. 2025. 9. 29.
경매와 공매 핵심 용어 정리 (시리즈 1편) 경매 공매 핵심 용어 정리 (시리즈 1편) ☌ 경매와 공매 핵심 용어 정리 (시리즈 1편)부동산 경매와 공매에 관심이 있는 분들이라면 반드시 먼저 익혀야 할 것이 있습니다. 바로 용어입니다.법원 경매든, 캠코(한국자산관리공사)에서 진행하는 공매든, 처음 접하면 낯선 단어들이 많아 이해하기가 쉽지 않습니다.오늘은 경매·공매의 기본적인 용어들을 하나씩 풀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입찰(入札)경매나 공매에서 사고 싶은 금액을 써내는 행위를 입찰 또는 응찰이라고 합니다.법원 경매의 경우 법원에 직접 방문하여 입찰표와 입찰보증금을 제출하거나, 전자입찰 시스템을 통해 온라인으로 참여할 수 있습니다.공매의 경우에는 온비드(Onbid) 사이트에 로그인하여 원하는 물건에 금액을 입력하고, 보증금을 가상계좌로 .. 2025. 9. 29.
경매와 공매에 관하여 - 경매 공매 시리즈를 연재하며 경매와 공매에 관하여 - 경매 공매 시리즈를 연재하며 최근 부동산 시장에서는 경매와 공매 물량이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이것은 단순한 일시적 현상이 아니라, 금리 인상, 경기 침체, PF 부실, 세금 체납 등 여러 구조적 요인이 겹치면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그렇기 때문에 투자자뿐 아니라, 세입자 입장에서도 상황을 정확히 이해하고 대응할 필요가 있습니다.이번 시리즈에서는 다음과 같이 단계별로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해 봅니다. [📌 PF(Project Financing)란?PF란 특정 사업(프로젝트)만을 담보로 돈을 빌려서 진행하는 금융 방식입니다.예시: 아파트, 오피스텔, 상가 건설 사업대출 상환은 오로지 그 프로젝트의 수익으로만 진행은행이나 투자자는 사업 자체가 성공해야만 돈을 회수할 수 있음] .. 2025. 9. 29.
낳다 낫다 낮다 - 헷갈리기 쉬운 단어, 낳다, 낫다, 낮다 헷갈리기 쉬운 단어 - 낳다, 낫다, 낮다 한국어에는 발음은 비슷하지만 뜻은 전혀 다른 단어들이 있습니다.그중 한 가지가 “낳다, 낫다, 낮다”입니다.하나씩 정리해 보겠습니다.1. 낳다 (to give birth, produce)뜻 : 아이를 출산하다, 어떤 결과나 산물을 만들어 내다영어 : to give birth, to produce한자 : 出生(출생), 產(낳을 산)과 연결예문 :그녀는 건강한 아이를 낳았다. (She gave birth to a healthy baby.)노력은 좋은 결과를 낳는다. (Effort produces good results.)👉 “낳다”는 생명을 태어나게 하거나, 결과를 만들어내는 것을 말합니다. 2. 낫다 (to recover, to be better)뜻 : 병이나 .. 2025. 9. 26.
한국어 어휘 비교 - 작다 적다(2) 한국어 어휘 비교 - 작다(小)와 적다(少)(2) 외국인 학습자뿐 아니라 한국인도 가끔 혼동하는 단어가 있습니다. 바로 **“작다(小)”**와 **“적다(少)”**입니다.발음도 비슷하고 쓰임도 유사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의미 영역이 다릅니다. 오늘은 이 두 단어를 비교하며 차이를 명확히 살펴보겠습니다.1. 어원과 한자작다(小)한자 : 小훈음 : 작을 소뜻 : 크기가 ‘작다’, 규모가 ‘작다’, 덩치가 ‘작다’초점 : 크기나 부피 → small ☞ “작다”는 크기를 말해요저는 아이 손에 작은 사과 하나를 쥐여주었습니다.“봐, 이 사과는 크기가 작지?”아들이 고개를 끄덕입니다.작은 집 (house is small)작은 강아지 (puppy is small)작은 소리 (voice is small)이처럼 ‘작다.. 2025. 9. 25.
반응형